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자동차 배터리 교체주기 및 방전증상 총정리

by $_$. 2023. 11. 23.

자동차를 운행하다 보면 배터리가 방전되어 시동이 안 걸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만약 출근해야 할 때 시동이 안 걸리게 되면 큰 봉변을 당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 자동차 배터리의 교체주기와 방전되기 전 나타나는 증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배터리-교체주기-썸네일
자동차배터리-교체주기-썸네일

 

자동차 배터리 교체주기

자동차에서 배터리는 발전기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배터리가 방전되어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면 자동차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자동차 배터리 교체주기를 인지하고 시기에 맞춰 교체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교체주기는 3년에서 4년 사이입니다. 만약 본인이 언제 교체했는지 잘 모르겠으면 배터리 제조일자를 확인해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자동차 배터리를 교체할 때는 차량 정비소를 방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주변에 배터리를 전문으로 하는 업체가 있으면 그곳에 방문해서 배터리 검사하고 교체해도 됩니다. 배터리도 차량마다 들어가는 용량이 다르고 적게 들어가게 되면 얼마가지 않아 방전이 되기 때문에 믿음직스러운 곳에서 교체하시길 바랍니다.

 

자동차 배터리 가격 알아보기

 

방전증상

자동차 배터리를 교체해야 되는 시기를 미리 알 수 있도록 방전되기 전에 나타나는 증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계기판에 배터리 경고등이 점등됩니다.

배터리의 수명이 다해가거나 배터리 자체에 문제가 발생하면 경고등이 점등됩니다. 하지만 경고등은 퓨즈에 문제가 생겨 오류로 작동하는 것일 수 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배터리 경고등이 점등되면 꼭 정비소에 방문해서 점검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시동이 약하게 걸리는 현상입니다.

배터리가 방전하게 되면 가장 먼저 직면하게 되는 문제는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니 시동을 걸 때 힘에 부치거나 기존과 다른 거 같은 느낌이 들면 배터리가 방전되기 직전이라는 신호로 봐야 합니다. 예를 들면, 소리가 끊기거나 차가 덜덜 거리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3. 계기판, 전조등, 실내등의 빛이 약합니다.

이거는 배터리가 방전되기 전에는 당연히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그리고 클락션 소리도 기존과 다르게 약하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우리가 운행하는 도중에 발견하기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교체주기를 인지하고 있어야 됩니다.

 

방전은 대부분 겨울철에 많이 발생합니다. 그러니 겨울철이 다가오면 미리 한 번씩 점검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